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

천간 계수(癸), 어디든 스며드는 지혜 유약하나 유연하다 계수(癸)는 음의 물로 이슬비와 안개의 물상이다. 유약하지만 넓은 범위에 적용할 수 있어, 유연성을 뽐내는 글자이다. 계수(癸)는 물의 특성을 가지므로, 에너지의 흐름이 외부가 내부로 향하여 수렴한다. 모든 것을 모아두는 정적인 성향이 강하다. 그러므로 계수일간은 조용한 사람들이 많으며, 혼자 깊이 생각하고 사색하는 것을 좋아한다. 자기만의 공간과 프라이버시를 매우 중시하며, 생각이 많고 사려가 깊어 상황 판단력이 뛰어난 사람이 많다. 계수(癸)는 유연한 기질로 인해 어떤 환경에서도 잘 스며들며, 인간관계를 유연하고 무난히 가져가는 사람들이다. 눈물도 많고 온순하며 마음이 착한 성정을 타고났다. 섬세하고도 여린 감성을 가진 사람들이다. 희생정신도 강하고, 사교적이며 부드러우며 나긋나긋하.. 2023. 2. 11.
천간 임수(壬), 심연의 신비 깊은바다, 심연의 신비 임수(壬)는 양의 물로, 댐에 가득 차있는 물, 바다와 같이 깊은 물의 형상이다. 맑고 투명한 물이 아닌 안이 전혀 보이지 않는 깊고 어두운 물에 해당한다. 깊은 바닷속은 알 수 없으나 수많은 신비가 있듯이, 임수도 자신만의 체계가 확실하고 속을 알 수 없는 신비로운 매력을 가졌다. 본인의 철학과 신념이 확실하므로 도인과 같은 신비로운 분위기의 소유자가 많다. 표현력이 좋고, 스스로 주목받고 싶어 하는 마음도 있어, 소규모 집단에서 본인의 생각을 공유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겉으로는 비밀스럽고 신비로운 그 모습이지만, 내면에는 낙천적이고 긍정적인 성향도 내재되어있다. 또한 임수(壬)는 고여 있는 물로서 에너지가 안으로 강하게 응축하는 성향의 글자이다. 물의 표면장력만 봐도 알수.. 2023. 2. 10.
천간 신금(辛), 예민하나 아름답다 미남 미녀의 글자 신금(辛)은 신금은 음의 금(金)으로 날카롭고 아름답게 제련된 보석의 물상이다. 예의 바르고 각이 잡혀 있다. 규율과 규칙을 잘 준수하고 질서를 잘 지키는 바르고 예의 있는 일간이다. 때묻는 것을 싫어하며 말과 행동 모든 면에서 모범적이다. 사람들을 바라보는 눈도 냉철하여 좋은 사람을 잘 가려 사귈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반짝반짝 빛나는 보석과 같은 모습이니, 신금일간인 사람들을 사람 자체가 주는 이미지와 행동이 세련되었다. 연예계에서 많이 보이는 일간으로 꼽힐 만큼 미남 미녀가 많으며, 스스로 돋보이고 싶어하며 타인의 관심을 받고싶어하는 신금의 성향이 연예계에서 대단히 좋은 기운으로 작용 한다.투박하고 제련되지 않은 경금(庚)과는 달리 섬세하게 담금질된 날카롭고 예리한 모습이다. 깔끔.. 2023. 2. 9.
천간 경금(庚), 정의의 칼과 저울 결과를 향해 마무리짓는다 경금(庚)은 양의 금(金)으로 크고 거칠며 가공되지 않은 단단한 광석이다. 다듬어지지 않은 원석으로 스케일이 크다. 계절로는 가을을 뜻하며 방위로는 서쪽을 의미한다. 가을은 열매를 모두 거두어들이며 잎은 떨어지는 계절이니, 모든 것을 마무리하려는 기운이 강하다. 맺고 끊음의 기운이 강한 글자이며 과정보다는 결과를 더 중시하는 결과 지향적인 성향을 보인다. 서쪽 또한 해가 저무는 방향으로, 곧 모든 것이 끝나고 마무리되는 기운이다. '숙살지기'라고 하여, 만물을 죽이는 기운의 대명사가 바로 금(金)의 기운이다. 봄과 여름이 생명의 계절이라면 가을과 겨울은 죽음의 계절에 해당한다. 그러니 가을의 금(金)이 마무리하고 끝내는 본분을 갖는 것이 어쩌면 당연할 것이다. 경금은 결과에 대한.. 2023. 2. 8.
천간 기토(己), 내땅 손대지말어 알짜배기 땅을 지키는 수호천사 기토는 음의 토(土)로, 텃밭과 같이 작물을 길러낼 수 있는 알짜배기 땅이다. 무토(戊)는 척박하고 광활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경작하기는 어려운 땅이지만 기토(己)는 씨앗과 뿌리를 보호하여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토는 본인에게 주어진 작은 논밭을 비옥하게 유지하고, 좁은 땅에서 최대한의 수익을 내려고 하는 성향을 보인다. 작지만 알찬 땅이기 때문에, 안정감과 비옥함이라는 요소를 중요시하게 된다. 따라서 기토일간은 자기 관리를 잘 하며, 안정감 있는 상황과 환경을 좋아한다. 내가 가진 것 안에서 잘 가꾸어 나가려고 노력하는 모습이다. 무엇보다도 초목을 잘 키워내야 하는 기토이니 좋은 것과 나쁜 것을 분별하는 능력이 발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내 것.. 2023. 2. 7.
천간 무토(戊), 뚝심과 중재의 산 대자연의 포용력과 스케일 무토는 양의 토(土) 기운으로, 크고 높은 산과 같다. 큰 산의 척박함과 드넓은 환경을 타고난 사람들이다. 거칠고 호탕하고 스케일이 큰 모습이다. 산은 식물과 동물을 품고 있는 하나의 대자연으로 포용과 중용의 덕을 의미하기도 한다. 넓은 산의 환경을 모두 감당해 내어야 하므로 생각과 행동의 폭이 크다. 대인관계의 폭도 넓으며 배포가 크고 포용력이 있으니 만인을 아우르는 리더십을 발휘한다. 여기에 더불에 무토 자신만의 세계관도 확실하다. 직관력이 있으며 신비로운 매력이 있다. 자신의 철학과 신념이 확실하기에 도인 같은 분위기를 풍길 수도 있다. 능동적인 겉모습과는 달리 내면은 수동적이고 폐쇄적인 모습으로 겉과 속이 대비되는 신비로운 글자이다. 무토는 기본적으로 중용의 성분인 토의 .. 2023. 2. 6.